안녕하세요
다비맘 유꽃입니다.
오늘은 포장재질구조증명서 제출 시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포장재질구조 증명서 제출 시 유의사항
1) 포장재 재질 및 구조 정보
▶ 종이팩
- 합성수지 마개 또는 성형구조물 사용 여부
: 합성수지 마개 또는 성형구조물 사용 시 합성수지 재질 정보 추가(PE 또는 PE 외 재질로 구분)
- 합성수지 마개 또는 성형구조물의 중량
- 합성수지 마개 또는 성형구조물이 포함된 포장재 전체 중량
- 합성수지 마개 또는 성형구조물의 포장재 몸체 대비 비율
: 포장재 중량 및 합성수지 마개는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0.01g 단위까지 계량합니다.
▶ 유리병
- 색상
: 무색 안료 또는 염료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합니다.
: 녹색 및 갈색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평가 기준] 별표 2 제2장에 따라 측정한 L, a, b 값
* 용기 제조업체에서 L, a, b 값을 제시할 경우 육안판정(의무생산자) 미실시
- 표면코팅 또는 도색 여부
: 유리병 몸체에 표면코팅 또는 도색을 하였는지 여부
: 표면코팅의 경우, 코팅방법이 Hot 코팅, Cold코팅, 플라스틱 코팅에 해당될 경우, 해당코팅 방법 명시
- 라벨의 재질
: 종이라벨, 합성수지 라벨, 금속혼입 라벨로 구분합니다.
▶ 철캔
- 몸체,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몸체는 철과 기타 재질로 구분합니다.
: 마개 및 잡자재는 철, 알루미늄, 기타 재질로 구분합니다.
▶ 알루미늄캔
- 몸체, 라벨,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몸체는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이외의 재질이 사용된 복합재질로 구분합니다.
: 라벨은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이외의 재질로 구분합니다.
* 직접 인쇄 등 라벨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제공이 불필요합니다.
: 마개 및 잡자재는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이외의 재질로 구분합니다.
* 마개 및 잡자재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제공이 불필요합니다.
▶ 일반 발포합성수지
- 모체 재질 : EPS, EPP, EPE, 복합재질로 구분합니다.
- 라벨,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EPS, EPP, EPE, PVC, 기타로 구분합니다.
▶ 폴리스틸렌페이퍼(PSP)
- 몸체 재질 : PS와 복합재질로 구분합니다.
- 라벨,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PS, PVC, 기타로 구분합니다.
▶ 페트병
- 몸체 색상 : 무색 안료 또는 염료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합니다.
- 녹색 및 갈색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평가 기준] 별표 2 제2장에 따라 측정한 L, a, b 값
* 용기 제조업체에서 L, a, b 값을 제시할 경우 육안판정(의무생산자) 미실시
- 몸체 재질
: PET, PET-G, 복합재질*로 구분합니다.
* 페트 재질 외의 재질의 중량이 페트병(뚜껑, 라벨 등 부분품은 제외합니다.)의 2% 이상인 경우
- 라벨 재질 및 구조
: PVC, 기타 합성수지*, 금속혼입재질, 합성수지 이외 재질로 구분합니다.
* PP, PET, PS, EP, EVA 등 단일재질 합성수지명을 기재합니다.
- 접착제는 열알칼리성 분리 접착제*와 일반 접착제로 구분하되, 기 열알칼리성 분리 접착제로 확인**된 경우 접착제명만 기재합니다.
* 공인시험기관이 발행한 성적서 또는 시험일시, 방법, 시험분석 담당자, 라벨 미제거(박리) 플레이크 세척품 잔존율(%) 및 라벨 비중 분리율(%) 산정 결과(0.01g 단위까지 측정)
** 헨켈사 3개 제품(EM598, EM325, EM382)
- 접착제 도포면적은 공인시험기관이 발행한 성적서 또는 시험 일시, 방법, 시험분석 담당자, 3D 스캐너를 활용한 해당부위 스캔 결과 및 3D 면적 계산 결과
- 라벨, 마개 및 잡자재 비중
: 비중이 제시되지 않은 합성수지는 비중이 제시된 물질안전보건 자료(MSDS) 또는 공인시험기관이 발행한 시험성적서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PVC, 기타 합성수지, 합성수지 이외 재질로 구분합니다.
▶ 단일재질 및 용기 트레이류(페트병, 발포합성수지 제외)
- 몸체 재질 : PET, PET-G, PE, PP, PS, PVC, 기타 합성수지로 구분합니다.
*PET 재질 무색의 경우 안료 또는 염료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합니다.
- 라벨,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PET, PET-G, PE, PP, PS, PVC, 기타 단일재질 합성수지, 복합재질 합성수지,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로 구분합니다.
* 빨대가 부착된 포장재는 리드 또는 마개의 경우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이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가합니다.
▶ 복합재질 용기 및 트레이류(페트병, 발포합성수지 제외)
- 몸체 재질 : 합성수지+합성수지, 합성수지+합성수지 이외 재질로 구분하되, PVC 사용여부,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과 병합 사용여부 추가합니다.
* 2가지 이상의 물질을 하나로 합침(화학적 결합)
- 라벨,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PVC, 기타 합성수지,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로 구분합니다.
▶ 단일, 복합재질 필름, 시트류(페트병, 발포합성수지 제외)
- 몸체 재질 : 단일재질은 PVC와 기타로 구분합니다.
- 복합재질은 5종류*로 구분합니다.
* 합성수지+합성수지, 합성수지+알루미늄을 제외한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 알루미늄 두께 20um 이하, 알루미늄 두께 20um 초과,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과 병합 사용
- 라벨, 마개 및 잡자재 재질
: PVC, 기타 합성수지, 합성수지 이외의 재질로 구분합니다.
포장재질구조 증명서에 위 내용 참고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보통은 포장 자재를 납품하는 업체에 요청하여 수령하면 됩니다.
포장재 재질 구조 증명서의 공급받는 자는 포장재질구조평가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는 자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고, 포장공급업체 대표이사의 직인을 꼭 받아야 합니다.
*참고문서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자료실 자료 참조
'제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리배출표시제도에 대하여 (0) | 2023.03.19 |
---|---|
합성수지에 대하여 (0) | 2023.03.16 |
포장재질구조평가에 대하여 (0) | 2023.03.13 |
제품품질평가에 대하여 (0) | 2023.02.04 |
안정성시험에 대하여 (1) | 2023.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