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비맘 유꽃입니다.
오늘도 공부를 해야 되는데 참 하기 싫은 월요일이네요..^^
4. 데이터 완전성 주요 개념
4.16 보존(Archiving)
▶ 기록 보관소(Archive)
프로세스 또는 활동을 검증할 목적으로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보안이 유지되는 구역이나 시설(예: 캐비닛, 방, 컴퓨터화된 시스템)
▶ 아카이빙(Archiving)
아카이빙 된 기록은 우너본 기록 또는 '정본'일 수 있으며 인지되지 않고 변경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하며 화재 또는 해충과 같은 사고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합니다. 아카이빙 방식은 필요한 보관 기간 동안 데이터와 메타데이터의 복구를 허용하고 가독성이 유지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전자 데이터를 아카이빙 하는 경우에는 이 프로세스가 밸리데이션 되어야 하며, 기존 시스템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검토 기능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합니다.(즉, 기존 컴퓨터화된 시스템의 지속적인 지원을 확인), 하이브리드 기록이 보관되는 경우에는 보관 기간 동안 이벤트의 전체적인 검증(verification)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인 기록과 전자적인 기록 간의 참조 정보를 유지해야 합니다.
기존 시스템이 더 이상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접근할 목적(특정한 보관 요구사항에 따른 기간만큼)으로 소프트웨어를 유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가상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유지함으로써 이런 목적을 충족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 데이터가 오래됨에 따라서 데이터의 '정본' 속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다른 포맷의 파일로 이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체 원본 데이터 기능을 이관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위험과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중요성에 기반해서 가능한 방법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관하는 파일 형식은 장기간의 접근성과 동적인 데이터 기능의 감소(예: 데이터 조사, 추세 및 재처리 등) 사이의 위험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접근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면 일부 속성이나 동적인 데이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파일 포맷으로 이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17 백업(Back up)
▶ 백업
백업은 재난 복구를 포함한 복구를 위해 유지하는, 현지의 (편집 가능한) 데이터, 메타 데이터 및 시스템 구성 설정의 사본입니다.
▶ 백업 및 복구 절차
백업 및 복구 절차는 밸리데이션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테스트해야 합니다. 각 백업은 전송된 데이터 크기가 원본 기록의 크기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식으로 정화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검증되어야 합니다.
데이터 관리 책임자의 백업 업무사항은 문서화해야 합니다.
복구 목적의 백업은 프로세스나 활동을 검증할 목적으로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최종 형태로 장기간 보관해야 하는 필요성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4.19 IT 공급자 및 서비스 공급자
▶ IT 공급자 및 서비스 공급자
'클라우드' 또는 '가상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소유관계, 회복, 보관 및 보안에 관한 사항을 파악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인 장소는 해당 지정학적 위치에 적용되는 모든 법률의 영향을 포함하여 고려해야 합니다.
- 계약의 양 당사자의 책임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합의서 또는 계약서에 정의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소유자나 국가 관할기관의 요청이 있을 때 데이터(메타데이터와 점검기록 정보 포함)에 적시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해야 합니다. 공급자와 계약할 때는 보존기간 동안 데이터의 아카이빙과 가독성을 계속 유지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규정해 두어야 합니다.
- 복구가 가능하도록 밸리데이션과 변경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시스템을 원래의 밸리데이션 된 상태로 복구하는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어야 합니다.
- 계약서에는 업무 지속 계획이 포함되어야 하며 테스트되어야 합니다.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검사 필요 여부는 위험에 기반하여야 합니다.
오늘까지 데이터 완전성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데이터 완전성에 대해 막연했던 것들이 계속 반복해서 공부하다 보니 조금은 개념이 잡혀가는 것 같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함께 해봐요:)
*참고문서
첨단바이오의약품 데이터 완전성 안내서
'데이터 완전성(D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완전성 관리에 대한 조직에 대하여 (0) | 2023.02.22 |
---|---|
데이터 관리 체계 시스템에 대하여 (0) | 2023.02.21 |
데이터 검토 및 승인에 대하여 (0) | 2023.02.18 |
데이터 프로세싱, 점검 기록에 대하여 (0) | 2023.02.16 |
데이터 관리체계, 전주기, 교환에 대하여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