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관련

원료물질 및 포장재료 관리에 대하여(1)

by 다비맘유꽃 2023. 3.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비맘 유꽃입니다.

 

오늘은 제약회사에서 원료물질 및 포장재료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료물질 및 포장재료 관리

1. 용어 정리

- 원료의약품 : 약리활성이 있는 성분(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PI)과 부형제 등 첨가제

- 포장재료는 의약품과 직접 접촉하는 재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재료로 나뉩니다.

직접용기 : 마개, 공병, 호일, 은박 등

포장 보조 용품 : 완충비닐, 솜 등

의약품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포장 자재 : 라벨, 설명서, 케이스, 수축필름, 운송용 박스 등

- 의약품을 다루는 데 필요한 기구 등 소도구 및 소모품

: 각종 검체 채취 용구(Sampler), 약삽(Scoop), 칭량 용기, 원료 및 완제품 이송용 호스, 일회용 용기 또는 반제품 용기

- 의약품과 직접 접촉하는 기계, 기구 또는 그 표면에 적용하는 것

: 윤활유, 밀폐용 재료, 원료 또는 중간제품 여과재료, 청정환경관리용 air filter

 

포장재료(자재)는 GMP적 관점에서 의약품과 접촉하고 의약품의 품질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차 포장 자재라 불리는 직접포장재료(자재)와 의약품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는 인쇄자재(표시자재)와 단순히 취급 및 운송과정 중 의약품을 보호하는 포장재료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규격 및 시험방법

사용 목적에 적합한 규격을 정하고 해당 규격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품질관리 시험방법을 확립해 두어야 합니다. 어떤 물질을 어떤 용도에 쓰게 되느냐에 따라 규제기관에서 규격을 요구하는 것이 있고 요구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요구하지 않더라도 제조회사에서는 자기의 용도에 합당한 규격과 시험방법을 정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요구하는 경우는 물론 요구하지 않는 경우라도 그 규격을 그렇게 설정한 과학적 근거가 명백해야 합니다. 허용범위를 좁게 하거나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여 규격을 엄격하게 하는 것이 반드시 높은 품질의 의약품을 보장한다고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제수로 충분한 용도의 물이라면 굳이 주사용수를 사용하도록 규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용도에서 지정한 규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할 때는 그 변경이 최종 제품의 품질에 미칠 위험의 정도를 분석하는 등 변경관리(Change Control)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규제기관의 승인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EU

규격문서(Specification)는 제품이나 제조에 사용하는 원료 및 제품 또는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물질에 대한 요구기준을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입니다. 이는 품질평가의 기초 자료가 됩니다.

출발물질과 포장재료, 완제품에 대해 적절하게 승인하고 날짜를 기재한 규격 문서가 있어야 합니다. 해당되는 경우에는 중간제품이나 벌크제품에 대해서도 규격문서가 있어야 합니다.

출발물질과 1차 포장재료 또는 인쇄된 포장재료의 규격 문서에는, 해당되는 경우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다음 사항을 포함한 원료에 대한 설명

: 품명과 사내 품목코드, 약전에 수재 되어 있다면 약전 각조 참조, 승인된 납품업체 및 제조원, 인쇄 자재의 견본

- 검체 채취 및 시험 방법이나 지침서 참조

- 정성, 정량 기준과 허용 범위

- 보관조건 및 주의사항

- 재검사까지의 최대 보관 기간

 

중간제품과 벌크제품을 구입하거나 출하하는 경우 또는 중간제품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완제품을 평가하는 경우에 이들 물품에 대한 규격문서가 있어야 합니다. 이들 규격문서는 출발물질이나 완제품의 규격 문서와 유사해야 합니다.

 

완제품의 규격문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제품명 및 해당되는 경우 코드 번호

- 처방 또는 참조문서

- 제형 및 포장에 대한 설명

- 검체 채취 및 시험에 대한 설명 또는 참조 절차

- 정성, 정량 기준과 허용 범위

- 보관 조건 및 해당되는 경우 취급상의 주의사항

- 사용기간

 

납품수령과 대기 보관, 검체채취, 보관, 라벨링, 불출, 가공공정, 포장 및 유통 등 원료와 제품의 모든 취급 업무는 지침서나 지시문서에 따라 시행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기록해야 합니다.

 

▶ ICH

의약품 개발의 목적은 적정한 품질의 제품을 설계하고 의도하는 성능의 제품을 일관되게 구현할 수 있는 제조공정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제제개발연구나 제조경험을 통하여 얻은 정보나 지식으로부터 과학적 이해를 확실히 함으로써 디자인 스페이스, 규격 및 제조 관리를 확립하게 됩니다.

 

첨가제의 성능에 관한 정보를 적절히 활용하면 해당 첨가제 선택이 정당하다는 것과 품질특성이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고 완제의 약품의 규격이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할 수가 있습니다.

 

중요품질특성(Critical Quality Attribute: CQA)이란 원하는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한도 이내에, 범위 안에, 분포 안에 있어야 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미생물학적 성질 또는 특성을 말합니다. CQA는 대게 원료의약품, 첨가제, 중간제품(공정 중에 있는 제품), 및 완제의약품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구고형제의 전형적인 CQA로는 제품의 순도, 함량, 약물방출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사람들이 거론됩니다. 기타 약물전달시스템(delivery system)에 관계되는 CQA로는 제품특이적인 사항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흡입제의 공기역학적 특성, 주사제의 무균성, 경피용첩부제는 접착력 등 원료의약품에서는 원료물질 및 중간체의 CQA로서 완제의약품의 CQA에 영향을 미치는 성질(입도분포, 겉보기 밀도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서

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vol.14

 

 

 

 

반응형

댓글